티스토리 뷰
목차 | Table of Contents
대부분의 직장인들이라면 누구나 연말정산과 노후준비에 대해 고민을 한 번쯤은 해보셨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연말정산 같은 경우 환급을 많이 받아서 13월의 월급이라고 여기는 분들도 있겠지만, 반대로 많은 금액을 토해내서 생활고를 겪는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과 노후준비를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연금저축펀드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연금저축펀드 장/단점, 수령 및 연말정산 최대 1,485,000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누구라도 알기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왜 연금저축펀드인가?
연금저축보험은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으로 원금 보장은 되지만 이율이 1%~3% 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대부분의 보험사의 경우 2%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후준비를 위한 자산증식의 효과가 매우 미미할 뿐 아니라 물가상승률조차도 따라가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반면에 연금저축펀드의 경우는 원금보장은 되지 않지만 이율은 개인이 투자한 결과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습니다.
물론 투자를 잘못한 경우는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장기간 우상향 할 수 있는 투자처를 잘 찾아서 투자한다면 노후준비를 위한 자산 증식에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연금저축펀드 특성
✅ 가입대상
연령제한 없이 국내 거주자 누구나 가입 가능
* 세액공제는 종합소득이 있는 소득세법상 거주자만 받을 수 있음
✅ 연간 납입 한도
1,800만 원
* 연간 1,80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납입을 하지 않아도 됨)
* 이월되지 않으며, 올해 1,800만원을 납입하지 않아도 내년 연간 납입한도는 1,800만원 임
✅ 연간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펀드: 600만 원
연금저축계좌: 900만 원
연금저축계좌에는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IRP 계좌 등이 있으며, 전체 합산하여 연간 세액공제 한도는 900만원입니다.
따라서, 연금저축펀드 600만원에 IRP 계좌 300만원을 추가할 경우 연간 최대 90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는 IRP계좌에만 900만원을 납입해도 됩니다.
✅ 운용방법
연금펀드 가입 및 ETF 직접 매수
✅ 원금보장
원금 보장 안됨
예금자 보호 안됨
연금저축펀드 가입
연금저축펀드는 온라인으로 쉽게 가입이 가능합니다.
증권사별로 ETF 매매수수료 할인 등 다양한 이벤트를 한시적으로 하고 있으니, 여러 증권사들을 둘러보신 후 가입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또한, 가입 후 바로 납입을 하지 않아도 되니, 부담없이 가입하셔도 됩니다.
✅ 각 증권사 연금저축펀드 가입 화면
연금저축펀드 주요 장점
연금저축펀드 주요 장점으로는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과 과세이연이 있습니다. 그 외 장점으로는 저율과세 및 장기투자로 인한 복리효과 등이 있습니다.
1)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 계좌로 현금 이체만 해도 세액 공제 가능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인 경우 최대 1,485,000원 세액 공제 가능(*IRP계좌 300만 원 추가 시)

2) 과세 이연
구분 | 배당수익 | 시세차익 |
일반계좌 | 수익 발생 시 15.4% 즉시 과세 | 수익 발생 시 - 국내 ETF 비과세 - 해외 ETF 15.4% 즉시 과세 |
연금저축펀드계좌 | 수익 발생 시 즉시 과세되지 않고, 연금 수령 시 3.3% ~ 5.5% 과세 |
수익 발생 시 즉시 과세되지 않고, 연금 수령 시 3.3% ~ 5.5% 과세 * 국내/해외 ETF 모두 과세 대상임 |
연금저축펀드계좌의 경우 시세차익이든 배당수익이든 발생 시 즉시 과세하지 않고 연금 수령 시까지 과세가 이연 되며, 심지어 일반계좌의 경우 즉시 과세되는 이율(15.4%) 보다 낮은 이율(3.3% ~ 5.5%)로 과세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이연 되는 과세 금액이 연금 수령 시까지 계속 운용되면서 또 다른 시세차익과 배당수익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이 연금저축펀드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국내 ETF 시세차익 시 일반계좌의 경우는 비과세이지만 오히려 연금저축펀드계좌에서 과세를 하고 있어서, 일부 투자자들은 국내 ETF는 일반계좌에서 투자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수령
✅ 수령요건
만 55세 이상 & 가입기간 5년 이상
✅ 연금소득세율
만 55세 이상 ~ 70세 미만: 5.5%
만 70세 이상 ~ 80세 미만: 4.4%
만 80세 이상: 3.3%
연금저축펀드 유의사항
✔ 리츠를 제외한 개별종목 매수 불가, 레버리지 ETF, 인버스 EFT 투자 불가
✔ 부득이한 경우(사망, 천재지변 등)를 제외한 중도인출 시 세액공제받은 금액과 운용수익인 16.5% 부담
✔ 연간 납입한도가 1,800만 원으로 한정
결론
연금저축펀드는 연말정산 세액공제뿐 아니라 노후준비를 위해서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점은 본인이 ETF를 통해 직접 투자해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이고 과세이연 또한 복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고의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도 인출을 할 경우 많은 손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현금흐름에서 장기적으로 투자해도 될 정도의 금액만큼만 투자하는 게 좋을 듯합니다.
연금저축펀드에 처음이신 분들은 아래에 포트폴리오를 한번 참고해 보시면,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연말정산 세액공제 최대한 많이 받는 방법 (연금저축펀드, IRP 등)
연금저축펀드와 IRP 퇴직연금을 가입하면 최대 1,485,000원까지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을 한번씩 읽어보시면 연말정산 세액공제는 물론 든든한 노후대비도 함께 준
mpipe.tistory.com
IRP 퇴직연금 (장단점, 연말정산, 수령, 세액공제 등)
연말정산을 토해내서 힘겨운 2월을 보내게 되실 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어떤 분은 13월의 월급이라고 해서 급여를 2번 받는 느낌일 텐데, 토해내는 분은 오히려 급여를 적게 받음으로써
mpipe.tistory.com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절세 혜택(장/단점, 가입, 해지 등)
혹시 예금이나 펀드로 1,000만 원의 수익(이자) 발생 시 얼마큼의 세금을 떼고 있는지 아시나요?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한다면 기본적으로는 15.4%, 즉 1,540,000원의 세금을 떼게 됩니다. 1,540,000원은
mpipe.tistory.com
'주식 파이프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ETF 강력 추천 #1(KOSEF 인도Nifty50(합성) ETF) (0) | 2023.09.10 |
---|---|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추천!!(feat. 향후 10년 동안 폭발적 성장이 예상되는 ETF) (0) | 2023.08.19 |
테슬라,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feat.어닝콜) (21) | 2023.07.23 |
테슬라, 4,000만원대 Model Y 국내 상륙!! (16) | 2023.07.17 |
테슬라, 사이버트럭 드디어 첫 생산 시작!! (32)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