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Table of Contents



    테슬라는 지난 7월 19일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를 하였습니다. 매출은 예상치를 상회하였으나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10%가량 폭락하였습니다. 올해 차량 가격인하로 인해 마진율이 좋지 않을 거로 대부분 알고 있었으나 생각보다 주가는 더 많이 하락을 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이번에는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및 주가 폭락의 원인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적(Q2 2023)

     


    요약

    (단위, USD)

    구분 실제 예측치 전년동기(YoY) 비고
    매출 249억 2700만 246억 5000만 +47%  
    순이익 27억 300만 - +20%  
    EPS(주당순이익) 0.91 0.82 +20%  
    매출 총이익률 18.2% 18.8% -25%  
    영업 이익률 9.6% 10.4% -5% * 지난 5분기 中
    가장 낮은 수준

     


    인도량

    2023년 2분기 인도량은 466,000대이며 전년대비 83% 증가하였습니다. 

    * 테슬라, 2023년 2분기 인도량 상세 확인

     

    테슬라, 2023년 2분기 인도량 대박

    테슬라 2023년 2분기 판매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가격 인하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 등으로 전기차 가격이 한층 저렴해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83%가량 증가한 수준이며 사상 최

    mpipe.tistory.com

     

     

    주요 내용(feat. 어닝콜, Q&A 등)

    > 올해 180만 대 인도량 달성 목표
    > Model Y,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차에 등극(내연기관 차 포함)
    > 글로벌 공장 업그레이드로 여름에 공장 가동을 중단하면서 3분기 생산량이 다소 즐어들 것으로 예상
    > 물량증가를 위해 마진을 희생할 수 있다는 입장
    > 거시 경제 상황이 안 좋으면 차량 가격을 낮출 수밖에 없다는 입장
     

    배터리 부문

    > 4680 배터리 셀 1분기 대비 80% 증가
    > 기가 텍사스 공장 누적 생산 1,000만 개 이상 돌파 및 25% 비용 감소
     

    슈퍼차저 부문

    > 전 세계적으로 매일 3.5개의 슈퍼차저 오픈
    > 포드, GM, 벤츠, 볼보 등의 회사가 테슬라 충전 표준인 NACS를 북미 제품에 도입 발표
     

    FSD(Full Self Driving) 부문

    > FSD Beta 데이터 확보랑 3억 마일 돌파(올해 1월(9,000만 마일) 대비 3배 이상 증가)
    > 기존 FSD 구매자 신차 구매 시 FSD 이전 설치 허용(~9월 말까지)
    > 2019년 이전 판매 차량(HW 1.0/2.0)은 약 53만 대 수준이며, 이들 차량의 교체 수요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
    > 타사 라이선싱 가능 & 현재 메이저 회사와 초기 협상 중(Ford로 예상됨)
     

    사이버트럭 부문

    > 사이버트럭 190만 대 이상 사전 주문
    > 사이버트럭 양산 개시, 하반기 중 인도 예정
    > 대량생산은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증가 예상
     

    에너지 부문

    > 대규모 신규 공급 계약 확장
    > AUTOBIDDER 계약 증가(호주, 텍사스, 영국, 캘리포니아 등)를 통해 에너지 발전/저장/거래 생태계 구축 중
    > 전년 동기 대비 222% 증가한 3.7 GWh를 기록

    * 테슬라 가상발전소(VPP), AUTOBIDDER 상세 확인

     

    테슬라, 가상발전소(VPP)

    '테슬라' 하면 전기차만 떠 올리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테슬라는 다양한 사업을 계속적으로 확장해 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에너지 사업 부분은 엄청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

    mpipe.tistory.com

     

    옵티머스 부문

    현재 10대 정도 생산하였으며, 내년부터 공장 투입 예정


     

    실적 발표 후 주가

    > 19일 종가(실적 발표 전): 291.26
    > 20일 종가: 262.90 (-9.74%)
    > 21일 종가: 260.02(-1.10%)

    실적 발표(19일) 이후 2 거래일 동안 10.84% 폭락


     

    주가 폭락의 원인

    마진율 하락

      - 차량 가격인하로 인한 마진율 하락
      - 올초 대비 차량 가격 14~28% 할인


    3분기 생산량 감소 예상

      - 공장 설비 개선 공사로 인해 3분기 생산량 감소 예상
      - Model 3 신 모델, 사이버트럭 등 생산 라인업 다양화를 위함


    차량 가격 추가 인하 예상

      - 향후 거시경제 상황이 안 좋을 경우 차량 가격 추가 인하 시사


     
    테슬라는 2분기 어닝 비트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 거래일 동안 주가는 10% 이상 폭락하였습니다. 금번 분기 마진율이 한자리(9.6%)로 떨어진 부분과 3분기 생산량 감소로 인한 실적 악화 및 추가적인 차량 가격인하 예상으로 인한 마진율 추가하락이 이번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며, 이에 대해 월가에서도 주가의 향방을 하락으로 가닥을 잡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락의 원인을 단기적인 시점이 아닌 장기적인 시점으로 본다면 차량 판매 극대화를 통한 이들 차랑들에 FSD탑재 및 로보택시등으로 인한 점차 S/W로 더 큰 수익 창출을 위한 큰 그림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참고적으로, 이번 주가하락으로 인해 세계 최고 부자인 머스크 CEO 재산은 하루새 203억 달러(약 26조 원) 증발하였으며, 순자산은 20일 기준 203억 달러 감소한 2344억 달러(약 300조 원)로 집계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1위 자리는 유지하고 있으며, 2위인 루이뷔통 회장과는 아직도 약 42조 원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로 인해 주가는 많이 하락하였지만, 테슬라의 성장성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투자에 참고만 해주세요.(모든 투자의 결정과 책임은 오직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