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Table of Contents
일론 머스크는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지구가 거주 불가능한 상태에 대비하기 위해,
인류를 화성으로 이주시키기 위한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탄생한 기업 중의 하나가 민간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SpaceX)'입니다.
스페이스X는 우주 발사체인 로켓, 로켓 엔진, 우주선을 만들고 있으며,
위성 인터넷 사업인 스타링크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바로 그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타링크(Starlink)
- 지구 저궤도(250 ~ 2000km)에 소형 통신위성을 쏘아 올려 전 세계에 인터넷 서비스 제공(5G 나 광통신 수준)
- 전 세계에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약 1만 2000개의 위성 필요
- 현재 약 2500기 운용 중 -> '25년까지 1만 2000개 발사/운용 목표
- 로켓 발사 후 추진체 회수 및 재활용으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 (* 1회 발사 비용의 30% 절감, 100회까지 재사용 가능)
2. 사업현황
- 세계 36개국에서 서비스, 40만 명 가입자 보유('22년 7월 기준)
- 아프리카 2개국(나이지리아, 모잠비크)에서도 서비스 가능('22년 5월)
- 현재 한 달 요금 110달러(추후 서비스 본격화 시 대폭 낮아질 전망)
- 스페이스X 주요 이력
- '08년 -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과 15억 달러 규모의 로켓 발사 장기 계약 체결
- '10년 - 우주 궤도에 처음으로 우주선을 보낸 민간기업
- '20년 - 민간기업 중 처음으로 유인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왕복 성공
- '21년 - 나사 달 착륙선 개발 사업 수주(28억 9000만 달러)
- '22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시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3. 향후 계획
- 차·선박·비행기에서도 인터넷 서비스 이용 가능 예정(美 당국 규제 완화, '22년 6월)
- 2023년도 한국 스타링크 서비스 출시 예정(아래 그림에서 'Starting in 2023'으로 표시)
- 스타링크 상장(IPO) 계획
- 미국 CNBC, 스타링크 가치 약 120조 원으로 평가
- 머스크, "스페이스X가 아닌 스타링크 사업을 분사하여 IPO 계획"
- 상장 시기는 여러 추측들이 있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아직 시기상조로 판단

현재, 전 세계 20억 명 정도의 인구만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타링크로 인해 전 세계의 모든 인구가 어디서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막대한 신규 수익 창출은 당연할 뿐 아니라, 전쟁이나 재난 상황에서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재난 극복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더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물론 부정적인 효과도 있겠지만)
또한,
더 이상 지구에서 거주가 어려울 때를 대비해 화성으로 인류를 이주시키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인류애적인 꿈에 깊은 감명을 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인류를 위해,
화성으로 이주하는 꿈을 가진 일론 머스크는
정말 대단하고 존경스럽습니다.
* 전문적인 정보를 다루기보다는 투자를 위한 전체적인 개념을 잡기 위한 정보이며, 또한,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투자에 참고만 해 주세요.
반응형
'주식 파이프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인니서 6조5천억원 니켈 구매 (0) | 2022.08.14 |
---|---|
테슬라, 주식분할 3:1 확정(feat. 주주총회) (2) | 2022.08.05 |
테슬라, 또 하나의 캐시카우 '보험' (0) | 2022.07.24 |
테슬라, 가상발전소(VPP) (0) | 2022.07.23 |
테슬라, 슈퍼차저 사업 (0) | 2022.07.18 |